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0

60세 이후 가계지출, 무엇이 제일 많이 들까?– 카테고리별로 냉정하게 따져봤습니다 은퇴하면 돈이 줄어든다고요?많은 분들이 이렇게 생각합니다.“60세 넘으면 애들도 다 키웠고, 돈 들어갈 일 없잖아?”하지만 현실은 다릅니다.가계지출의 성격이 바뀔 뿐, 총지출은 오히려 비슷하거나 더 많아지는 경우도 있습니다.오늘은 2025년 기준 60세 이상 가구의 평균 지출 내역을 항목별로 분석해보고,어디에 돈이 가장 많이 드는지 냉정하게 따져보겠습니다. 1.60세 이상 가구의 월 평균 지출 현황 (2025년 기준)출처: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 국민연금공단 시니어지출분석자료항목 월 평균 지출액 비중식비약 43만 원31%주거/관리비약 15만 원11%의료비약 12만 원9%교통/통신비약 10만 원7%경조사비·용돈약 9만 원6%문화/여가약 7만 원5%그 외 (의류, 보험 등)약 15만 원11% 총합계약.. 2025. 8. 1.
국민연금으로는 부족한 이유, 공식 데이터로 알아보기 국민연금, 안심하고 계셨나요?"국민연금 하나면 노후 걱정은 없다?"예전에는 그렇게 믿었지만, 2025년의 현실은 많이 달라졌습니다.많은 중장년층이 은퇴 후 ‘국민연금’만을 의지하고 있지만,정작 받는 금액은 생계를 유지하기에 턱없이 부족합니다.이 글에서는 공식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국민연금이 왜 부족한지,그리고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 현실적인 대안을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1. 국민연금 실수령액, 얼마나 되나요?구분 2025년 기준평균 수령액월 59만 원전체 수급자 중 50% 이상월 50만 원 미만 수령최저보장금액 없음가입기간과 소득에 따라 큰 차이 발생 출처: 국민연금공단, 2025 고령자통계연보 즉, 국민연금은 '누구나 노후를 안정되게 보장받는 제도'가 아니라, '가입 기간이 길고 소득이.. 2025. 8. 1.
‘평균 수명 83세, 건강수명 73세’… 그 10년의 격차 “살아는 있지만, 온전히 사는 것이 아닙니다.”10년이라는 시간, 의미 있게 살고 계신가요?요즘 부모님을 보면 이런 생각이 듭니다."몸은 살아있지만, 예전처럼 움직이시진 않네…"대한민국의 평균 기대수명은 83세, 세계에서도 손꼽히는 장수 국가입니다.그런데 건강하게 사는 수명, 즉 ‘건강수명’은 겨우 73세에 불과하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이 글에서는 그 10년의 공백이 무엇인지, 그리고 지금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 짚어보겠습니다. 평균 수명 vs 건강수명, 무엇이 다른가요? 용어 뜻 한국 기준 (2025)한국 기준(2025)평균수명출생 시 기대 수명83.0세건강수명질병이나 장애 없이 건강하게 사는 기간73.3세 즉, 한국인은 약 10년을 병원과 약에 의존한 채 살아간다는 의미입니다.WHO에 따르면 ‘건.. 2025. 8. 1.
2025년 현재 노후 빈곤율 통계로 보는 대한민국 현실 “노후가 두려운 나라, 지금 우리는 어디쯤 와 있을까요?”서론: 부모님의 한숨, 숫자로 보니 더 무겁습니다"60만 원 가지고 어떻게 살아야 하냐?"어느 날 어머니의 작은 한마디가 가슴에 박혔습니다.국민연금 하나에 의지해 살아가는 삶. 그것이 우리 부모님의 오늘이고, 미래의 내 모습일지도 모릅니다.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2025년 현재 대한민국의 노후 빈곤율 통계와 그 배경, 그리고 어떻게 대비할 수 있을지 함께 살펴보려 합니다. 대한민국 노후 빈곤율, 어느 정도일까?2025년 기준 65세 이상 노인 빈곤율: 39.4%OECD 평균 노후 빈곤율: 13.5%한국은 13년 연속 1위즉, 우리나라 노인 10명 중 4명은 빈곤 상태에서 살아가고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노후 빈곤율이란?해당 연령대의 중위소득 50% 이.. 2025. 7.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