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적금만으로 노후 준비가 될까?
매달 빠듯하게 모아온 ‘노후 대비 적금’,
10년이면 목돈처럼 보이지만… 막상 은퇴를 앞두고 통장을 열어보면 이상하게 ‘줄어든 느낌’이 든다.
실제로 50대 이상 중장년층의 63%가
“물가 상승 속도를 따라가지 못해 불안하다”는 답변을 내놓았다. (출처: 통계청·국민연금연구원, 2024)
왜 이런 일이 발생할까?
1.‘예금 금리’와 ‘물가 상승률’의 역전 현상
연도 | 정기예금 평균 금리 |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 | 실질 수익률 |
2013 | 2.7% | 1.3% | +1.4% |
2019 | 1.6% | 0.4% | +1.2% |
2022 | 1.9% | 5.1% | -3.2% |
2024 | 2.5% | 3.6% | -1.1% |
※ 실질 수익률 = 예금이자 – 물가상승률
→ 금리는 오르지 않는데 물가는 훨씬 빠르게 상승하고 있다는 뜻
2.‘적금’은 원금 보장이 아니라 ‘가치 손실’ 방지 수단이 아니다
예금은 안전하지만
물가를 따라잡지 못하면 실질적으로 손해를 보는 구조
예) 10년간 매달 50만 원 적금 → 약 6,000만 원
하지만 그 6천만 원이 10년 전의 6천만 원 가치를 지닌다고 보장할 수 없다.
돈은 모였지만, 살 수 있는 품목은 줄어든다.
3. 왜 많은 사람이 이걸 인지하지 못할까?
숫자 자체는 늘었으므로 착각하게 됨
대부분 명목 금리만 보고 결정함 (물가 고려하지 않음)
‘은행에 넣어두면 안전하다’는 낡은 인식
결론:
그럼 대안은 무엇일까?
현실적인 대안 리스트
물가 연동형 금융상품 활용 (물가채, TIPS ETF 등)
연금저축·IRP 통한 세액공제 + 복리 구조 활용
금·지수 ETF·부동산 펀드 등 자산분산 필요
공적연금(국민연금 등)의 비중 증가 전략 고려
건강관리 = 금융방어력으로 접근 (의료지출 축소)